루비/에메랄드웨폰을 잡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글을 시작하기 먼저 공략을 써주신 분들께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각 제목 밑의 링크가 이렇게 글을 정리하게 된 출처 또는 제 나름대로의 공략을 만드는데 도움을 받은 글입니다.
저는 단지 게시판 있는 방법들을 보고 필요아이템 및 마테리아 그리고 필요레벨과 약간의 참고사항을 적어 보았습니다.
한가지, 레벨에 관해 말씀드리는 것은 루비/에메랄드 웨폰만을 남기고 대공동의 마지막 결전 전까지 스토리진행을 빠짐없이 다 했을 경우 크라우드는 [60]대, 나머지 캐릭터들을 바꾸지 않고 중점적으로 키웠다면 [60]대 / 나머지 캐릭터들을 바꾸면서 키웠다면 [50]대의 레벨이 나옵니다. 거치지 않아도 스토리진행에 문제가 없는 보스전(예를 들면 로스트넘버, 알테마웨폰 등)은 건너뛰고 진행했을 경우에는 [40]대의 레벨이 나옵니다. 필드의 전투는 모두 도망으로 스킵하고 꼭 필요한 이벤트의 보스전만 진행했을 경우에는 [30]대의 레벨이 나옵니다. 최저 경험치 플레이는 [20]대의 레벨이 나옵니다.
<게시판 글 중에서 잘못 알려진 팁>
*Hero Drink(英雄の藥)는 공격력, 방어력, 마법공격력, 마법방어력 30% 증가입니다. 100%가 최대한계이기때문에 4개까지만 효과가 있습니다. 5개 이상은 능력치 증가의 변화가 없습니다. 또한 운이나 스피드를 올려주지는 않습니다. 참고로, 능력치 한계인 255 이더라도 Hero Drink 사용으로 전투 중에 데미지를 2배까지 올릴 수 있습니다.
*에메랄드의 약점속성은 Lightning(雷)입니다. Gravity(重力)는 약점속성이 아니라 오히려 반감데미지이지만 워낙 HP가 높기때문에 항상 9999 데미지가 나오는 것입니다. 덧붙여, 에메랄드 웨폰의 눈의 약점속성은 Fire(炎)입니다.
*리미트 Angarmax(アンガマックス)와 Highwind(ハイウインド)는 30번이 아니라 18번 때립니다.
<전투속도 빠르게>
Time(じがん) 마테리아의 Haste(ヘイスト) / E.Skill(てきのわざ)의 Big Guard(マイテイガ-ド) / 아이템 Speed Drink(スピ-ドドリンク)로 가능합니다.
<임의로 7777 만들기>
[함유빈 님의 글] http://nemi.hosting.paran.com/xe/72170
[vpfile 님의 글] http://nemi.hosting.paran.com/xe/75026
필요 장비[E]
필요 아이템[ I ] : Potion(ポ-ション)
필요 마테리아[M] : Transform(へんしん) / Manipulate(あやつる) / HP Plus(HPアッブ)(2개)
필요 리미트[L]
HP Plus 마테리아를 장착하고 HP가 7777 이상이어야하므로 레벨 [55]이상이면 가능합니다. HP가 가장 낮은 유피 기준입니다. 다른 캐릭터들은 보다 적은 레벨에서 가능합니다.
초코보 S 클래스 경품 Cat's Bell(タマのすず)이 있으면 만드는데 상당한 도움이 됩니다.
<루비웨폰>
1. KOR(Knights of the Round ; ナイツオブラウンド) + Hades(ハ-デス) 반복
[masakiando 님의 글] http://nemi.hosting.paran.com/xe/199772
[M] : W-Summon(Wしょうがん) / KOR / Hades / Mime(ものまね)(1~3)
레벨이 낮아도 마테리아만 준비되어 있다면 가능합니다.
크라우드 레벨 [8], 티파 레벨 [7]로도 웨폰을 잡을 수 있습니다.
레벨이 낮아서 스피드가 느리다면 Haste로 보완하면 보다 쉽게 깰 수 있습니다.
2. 유피 7777 리미트 반복
[vpfile 님의 글] http://nemi.hosting.paran.com/xe/75026
[E] : Chocobracelet(チョコボの腕輪) / Sprint Shoes(エルメスのクツ)
[ I ] : Potion / Dazers(しびれ針)
[M] : Transform / Manipulate / HP Plus(2) / Speed Plus(スピ-ド)(2) / Mime / Hades
[L] : Doom of the Living(生者必滅)
7777을 이용하기 때문에 레벨 [55]이상이면 가능합니다.
Dexterity(すばやさ)는 레벨 [55]인 유피가 Chocobracelet과 Speed Plus 마테리아 2개를 장비한 174 으로도 어렵지 않게 가능했습니다.
Hades를 Dazers로 대신해도 가능합니다.
파티의 레벨이 낮으면 촉수를 없애기 어렵습니다만 깨는 데는 크게 상관없습니다. 또한 촉수를 없애기 위한 Ultima Weapon(アルテマウェポン), X-Potion(エクスポ-ション), W-Item(Wアイテム) 마테리아, Double Cut(れんぞくぎり) 마테리아 그리고 크라우드에게 거는 Haste는 필수적인 것은 아닙니다.
촉수를 빠르게 제거하지 못하는 저레벨의 경우 루비웨폰이 마비에서 풀리기를 기다린 후 땅에서 촉수를 빼자마자 루비웨폰을 정지시키고 7777을 실행하면 됩니다. 유피 외에 크라우드, 바렛, 시드, 티파, 레드XIII도 레벨을 높여서 Dexterity가 높다면 가능합니다.
3. 바렛 7777 Comet2(コメテオ) 반복
[김남식 님의 글] http://nemi.hosting.paran.com/xe/74708
[ I ] : Potion / Dazers
[M] : Transform / Manipulate / HP Plus(2) / Comet(いんせき) / Quadra Magic(まほうみだれうち) / W-Magic(Wまほう)
7777을 이용하기 때문에 레벨 [55]이상이면 가능합니다.
Dazers만 적절히 사용하면 능력치 중에서 Dexterity가 높지않아도, W-Item 마테리아가 없어도, Cover(かぼう) 마테리아가 없어도 무난히 할 수 있습니다. W-Magic 또한 Mime으로 대체 가능합니다. 만약 Comet 마테리아가 하나 더 있다면 Comet + MP Absorb(MPきゅうしゅう)로 함께 조합하면 좋습니다. 마법마테리아 대신에 7777 타격 이후에 아이템 Stardust(星の砂)와 Dazers를 W-Item과 Mime 마테리아를 이용하여 반복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바렛 외에 다른 모든 캐릭터도 가능합니다.
응용방법으로 7777 타격 이후에 리미트를 쓰고 KOR과 Hades를 쓰고 Comet2 여러번으로 마무리하면 아주 멋집니다.(5가지 공격이 한 전투에서 모두 이루어집니다!)
4. 바렛 Missing Score(ミッシンスコア) + Counter Attack(カウンタ-)
[E] : Missing Score / Tough Ring(タプネスリング)
[ I ] : Tranquilizer(鎭靜濟) / Vaccine(ワクチン) / X-Potion / Hero Drink(4)
[M] : Counter Attack(1~8) / HP Plus(2)
레벨[40]이더라도 준비되어 있다면 가능합니다.
Tranquilizer를 먹여서 Sadness(かなしぃ)상태로 만들고 악세사리로 Tough Ring을 장착합니다.
전투에 들어가자마자 아이템 Vaccine을 사용합니다. HP가 떨어질 때는 X-Potion 혹은 Elixir(エリクサ-)를 사용하고 HP가 떨어지지 않을 때는 Hero Drink를 사용합니다. 이를 반복하면 됩니다.
Missing Score에 많은 양의 AP를 가진 마테리아가 있어야 편합니다만 AP양이 많지 않아도 오래걸릴 뿐 웨폰을 잡을 수는 있습니다.
레벨이 높아서 마법방어력이 높다면 악세사리로 Ribbon(リボン)을 장착하고 돌아오는 턴마다 X-Potion 혹은 Elixir만 먹으면 됩니다.
Counter Attack은 8개까지만 효과가 있습니다. 9개이상일지라도 8번 반격합니다.
바렛 외에 다른 모든 캐릭터도 가능합니다.
5. 바렛 Missing Score + 4x-Cut(みだれうち) 반복
[김남식 님의 글] http://nemi.hosting.paran.com/xe/74708
[E] : Missing Score / Mystile(ミステイ-ル) / Tough Ring
[ I ] : Tranquilizer / X-Potion / Hero Drink / Vaccine
[M] : KOR / Double Cut / Counter(コメンドカウンタ-)(6) / Mime(6)
레벨이 [99]가 되어야 합니다.
Tranquilizer를 먹여서 Sadness상태로 만들고 방어구는 Mystile, 악세사리로 Tough Ring을 장착합니다. Missing Score에 장비된 AP가 높아야 하므로 KOR 마테리아를 마스터해서 장비합니다. 마테리아 조합은 KOR / Double Cut / Counter + Mime(6set) 입니다.
전투에 들어가자마자 Vaccine을 사용합니다. 다음 턴에는 Hero Drink를 사용합니다. 4x-Cut을 계속하다가 HP가 4000 이하로 떨어질 때는 X-Potion 혹은 Elixir를 사용합니다.
데이터로는 안나와있지만 신기하게도 방어구 Mystile을 장비하게 되면 다른 방어구를 장비했을 때보다 루비웨폰에 대한 명중률이 월등히 높습니다. 본래 명중률은 Dexterity와 Luck(うん)이 상관있습니다만 데이터상으로는 Mystile이 Dexterity와 Luck을 올려주지는 않습니다. 참고로 Dexterity가 200 이상이 되면 방어구가 어떤 것이든 상관없이 루비웨폰을 공격할 때 웨폰이 회피를 못하고 거의 다 맞습니다.
바렛 외에 다른 모든 캐릭터도 가능하며, 이 경우 KOR 마테리아 대신에 Speed Plus로 교체합니다.
만약 소스노가다를 통해서 능력치 Luck을 100 이상으로 올려두면 방어구를 Wizard Bracelet(ウイザ-ドブレス), 악세사리를 Ribbon으로 교체하고, Master Command(マスタ-コメンド) + HP Absorb(HPきゅうしゅう)를 함께 조합하여 장비하면 처음에 Hero Drink를 먹고 4x-Cut을 계속하다가 리미트를 쓰는 것으로 중간에 회복없이 깨는 것도 가능합니다. 덧붙여, 리미트는 루비웨폰의 방어력 때문에 Angarmax보다 Catastrophe(カタストロフィ)가 데미지가 더 좋습니다.
만약 능력치 Strength(ちから)를 올려서 Attack(こうげきりょく)을 255까지, Spirit(せいしん)를 올려서 Magic def(まほうぼうぎょ)를 255까지 올리면 Counter + Mime만 장착하고 Hero Drink 이후 리미트만 쓰면 됩니다.
위의 방법들은 루비웨폰의 본체만 공격하는 형식입니다만 잘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다 쉽고 확실한 방법으로 악세사리로 Ribbon을 장착하고, 전투시에 먼저 루비웨폰의 촉수부터 제거하고 본체를 나중에 공격하면 됩니다.
6. 티파 Premium Heart(プリミアムハ-ト) + 4x-Cut 반복
[핀치씨 님의 글] http://nemi.hosting.paran.com/xe/75208
[E] : Premium Heart / Gigas Armlet(ギガ-スの腕輪) / Curse Ring(呪いの指輪)
[ I ] : Tranquilizer / Hero Drink(2) / Speed Drink / Vaccine / X-Potion(9)
[M] : Double Cut / W-Item / Counter / Mime / HP Absorb / Master Command / Luck Plus(ラッキ-)(2) / Speed Plus(2) / HP Plus(2)
[L] : Final Heaven(ファイナルヘヴン)
레벨이 [99]가 되어야 합니다.
티파 외에 다른 모든 캐릭터도 가능합니다.
방어구를 Mystile로 교체하고 공격에 리미트는 선택하지말고 4x-Cut 후에 Mime만 선택한다면 중간중간에 회복없이 레벨 [60]으로 가능합니다. Luck Plus 마테리아는 없어도 크게 지장없습니다.
유피나 바렛은 최강무기의 데미지의 변화가 없으므로 4x-Cut과 회복을 선별적으로 선택할 수 있어서 보다 저레벨에서 깨는 것이 가능합니다.(특히 바렛은 레벨[40]으로 가능) 저레벨의 경우 악세사리는 공격력을 올리는 Curse Ring보다 Tough Ring으로 교체하여 방어력을 올리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방어구에 Fire(ほのお) + Elemental(ぞくせい) 마테리아를 장착하면 X-Potion의 사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덧붙여 위와 같은 조합으로 에메랄드 웨폰을 레벨[43]으로 깨는 것도 가능합니다.
7.크라우드 리미트 반복
[E] : Ultima Weapon / Wizard Bracelet / Curse Ring
[ I ] : Tranquilizer / Hero Drink / Vaccine
[M] : Counter(7) / Mime(7) / Sneak Attack(ふいうち) / Restore(かいふく)
[L] : Omnislash(超究武神覇斬)
레벨이 [99]가 되어야 합니다.
Tranquilizer를 먹여서 Sadness상태로 만들고 방어구는 Wizard Bracelet, 악세사리로 Curse Ring을 장비합니다. 마테리아는 Sneak Attack + Restore / Counter + Mime(7set) 로 장착합니다. 이때 Restore 마테리아는 마스터하지 말고 Regen(リゼネエ)까지만 쓸 수 있는 상태이어야 합니다. 리미트게이지는 꽉 채워져있는 상태로 전투에 들어갑니다.
전투를 시작하면 마테리아 조합에 의해 Regen이 자동으로 발동됩니다. 첫턴에는 Vaccine을 사용합니다. 다음턴에는 Hero Drink를 씁니다. 그 다음턴에 Omnislash를 쓰고 계속 Mime을 선택하게 되면 수십번의 리미트를 맞고 웨폰은 쓰러집니다.
8. 돈던지기 + Dazers 반복
[김남식 님의 글] http://nemi.hosting.paran.com/xe/74708
[ I ] : 돈 8001000 Gil / Dazers
[M] : Throw(なげる)(3)
레벨이 낮아도 준비되어 있다면 가능합니다.
극도의 플레이라면 레벨 [7]로도 잡을 수 있습니다.
Throw 마테리아는 레벨업을 해서 Coin(ぜになげ) 커맨드가 가능한 상태이어야 합니다.
처음에 Dazers 던지고 다른 캐릭터를 살린 후에 돈 던지고 웨폰의 마비가 풀릴 때 Dazers 던지고 다시 돈 던지기를 반복하면 됩니다. 무엇보다 Dazers를 제때에 활용하는 것이 관건입니다.
돈의 데미지는 방어력 무시 1/10입니다. 따라서 100000 Gil(1000 단위이기 때문에 99990 이 없고 99000 다음이 100000 입니다)을 80번, 마지막은 1000 Gil을 던지면 됩니다.
Mime 마테리아를 이용하여 돈던지기을 Mime으로 대신하면 훨씬 편합니다.
돈 던지기 대신에 E.Skill 판도라상자(なんとか???)를 써도 됩니다. 판도라상자는 방어력 무시 마법입니다. 또한 반사가 가능하므로 우리편 모두에게 Reflect(リフレク)를 건후 판도라상자를 우리편에게 쓰면 1회당 3번 나갑니다.
9. 실력행사
캐릭터에 따라 레벨 [36]으로 마법없이 물리적 타격과 회복만으로 때려잡는 것도 가능하나(바렛 Missing Score에 KOR 8개 장착 후 4x-Cut) 무척 오래걸리고 무엇보다 Elixir를 40개 이상 소모합니다. 참고로, 레벨 [99]이더라도 시간은 상당히 걸립니다.
촉수와 본체의 2단공격때문에 촉수가 계속 재생한다하더라도 본체보다 촉수를 우선 공격해야 합니다.
HP를 7000 이상으로 만들어 놓지 않으면 힘듭니다. Ribbon 또는 Vaccine이 없으면 난감합니다. 저레벨의 경우 방어력과 마법방어력을 올리기 위해 Tough Ring을 장착합니다. 캐릭터는 최강무기의 데미지 변화가 없는 바렛이나 유피가 유용합니다. 덧붙여, 저레벨의 유피의 리미트는 Gauntlet(鎧袖一訌 ; 방어력무시공격)이 좋습니다.
최강무기와 4x-Cut 조합, Master Command + HP Absorb, Elixir, Hero Drink, 방어구에 Fire + Elemental 장착, 방어력무시마법 등으로 싸웁니다.
<에메랄드웨폰>
1. KOR 반복
[E] : Ziedrich(サイドリッツ)(3) / Circlet(サ-クレット)(3)
[ I ] : Tranquilizer
[M] : W-Summon / KOR / HP Absorb / Mime(3) / HP Plus(6) / Magic Plus(マジカル)(6)
레벨 [43]이면 가능합니다.
Tranquilizer를 먹여서 Sadness상태로 만들고 방어구는 Ziedrich(방어력뿐만아니라 공격력, 마력까지 상승), 악세사리로 Circlet을 장착합니다. HP Plus 마테리아를 이용하여 캐릭터 HP가 5000 은 넘어야 합니다. 2개의 마스터된 Magic Plus(マジカル) 마테리아를 장비하고 KOR은 HP Absorb와 함께 조합합니다.
Magic Plus 마테리아를 쓰지 않는다면 레벨이 [60]정도 되어야 가능합니다.
2. KOR 반복
[E] : Wizard Bracelet / Circlet
[M] : Counter / Mime(2) / Final Attack(ファイナルアタック)(2) / Revive(そせい) / MP Turbo(MPタ-ボ) / KOR / HP<->MP(HPMPいれかえ) / W-Summon / HP Plus(2) / Magic Plus(2)
레벨 [7]로도 웨폰을 잡을 수 있습니다.
1번과 모양새는 같지만 이러한 준비로 저레벨, 캐릭터 1명으로 공략이 가능합니다.
KOR을 쓸 캐릭터에게 Wizard Bracelet과 Circlet을 장비하고 마테리아 조합을 Counter + Mime / Final Attack + Mime / Final Attack + Revive / MP Turbo + KOR / HP<->MP / W-Summon / HP Plus(2) / Magic Plus(2) 으로 합니다.
처음에 KOR을 소환하고 그다음은 Mime을 계속하면 됩니다.
Revive 마테리아는 마스터하지 말고 Life(レイズ)만 쓸 수 있어야합니다. 만약 Life2(アレイズ)를 쓰게 되면 저레벨에서는 MP부족으로 깨질 못합니다. 같은 이유로 3인 모두 레벨업을 하려는 목적으로 Phoenix(フェニックス)를 조합해도 저레벨에서 공략은 불가능합니다. Phoenix를 조합하려면 최소한 690 이상의 MP(HP<->MP 마테리아로 바꾼 MP값)가 필요합니다.
3. 크라우드 바렛 시드 7777 리미트
[vpfile 님의 글] http://nemi.hosting.paran.com/xe/75026
[E] : Tough Ring(2) / Sprint Shoes
[ I ] : Potion
[M] : Transform / Manipulate / HP Plus(6) / Mime
[L] : Omnislash / Angarmax / Highwind
7777을 이용하기 때문에 각 캐릭터 레벨 [55]이상이면 가능합니다.
4. 크라우드 7777 리미트 + KOR 4회 반복
[E] : Tough Ring(2) / Sprint Shoes
[ I ] : Potion
[M] : Transform / Manipulate / HP Plus(6) / W-Summon / KOR / Mime(1~2)
[L] : Omnislash
7777을 이용하기 때문에 각 캐릭터 레벨 [55]이상이면 가능합니다.
3번 방법의 응용입니다. 준비는 3과 동일하게 하고 때리는 순서를 크라우드 Omnislash 후에 리미트의 타격수가 부족한 인원들(티파/레드XIII/유피/빈센트/캣토시)은 리미트 대신에 KOR을 W-Summon 한 후에 그 다음 캐릭터가 Mime을 하면 됩니다.
다른 응용으로 7777 타격 이후에 7777을 유지한 채로 65번만 때리면 되므로 각 캐릭터 리미트, W-Summon KOR(13회 X 2 = 26회 타격), W-Magic Comet2 + Quadra Magic(4회 X 4 X 2 = 32회 타격)을 활용하여 여러 멋진 조합이 나올 수 있습니다.
(예)7777 -> Omnislash -> Highwind -> Final Heaven -> W-Summon KOR
7777 -> Omnislash -> Catastrophe -> Stardust Ray(スタ―ダストレイ) -> W-Magic [Comet2 X 4]
7777 -> Omnislash -> Angarmax -> Doom of the Living -> W-Summon [Bahamut Zero(バハム-ト零式) X 4 -> KOR]
일반적으로 4번째 공격(크라우드)까지는 7777 이 유지되는 편입니다만, 5번째 공격은 7777 이 유지되는 경우가 드뭅니다. 5번째 이후의 공격은 7777 이 깨져도 상당한 데미지가 나오는 KOR이나 Demi(ゲラビデ) + Quadra Magic를 쓰는 편을 권해드립니다.
추천하는 멋진 조합은
7777 -> Omnislash -> Doom of the Living -> Final Heaven -> W-Magic [Comet2 X 4 -> Ultima(アルテマ)] -> W-Magic [Demi -> Bolt3(サンダガ)] -> W-Summon [Neo Bahamut(バハム-ト改) -> Bahamut Zero] -> W-Summon [Phoenix -> KOR] 입니다.(12가지 공격이 한 전투에서 모두 이루어집니다!)
5. 리미트 반복
[프릭스 님의 글] http://nemi.hosting.paran.com/xe/74890
[E] : 각 캐릭터 최강무기 / Gigas Armlet / Curse Ring
[ I ] : Hero Drink(2~4)
[M] : Counter(5~6) / Mime(5~6) / W-Item(1~2)
[L] : Omnislash / Angarmax / Highwind / Doom of the Living 중 한가지
레벨이 [99]가 되어야 합니다. 소스노가다는 특별히 필요하지 않습니다.
리미트가 준비된 캐릭터에게 최강무기, Gigas Armlet, Curse Ring을 장비하고, 마스터된 Counter + Mime 마테리아를 장착합니다.
공격하지 않을 캐릭터로 W-Item을 이용하여 Hero Drink를 2개, 그리고 더 먹여서 공격할 캐릭터에게 총 2~4개의 Hero Drink를 먹입니다. 그 다음 리미트를 쓰면 됩니다.
리미트 : [Hero drink 필요수 / Counter + Mime 필요수]
Omnislash : [2 / 6]
Angarmax : [3 / 6] [4 / 5]
Highwind : [2 / 6] [3 / 5]
Doom of the Living : [3 / 6]
만약 소스노가다를 통해 능력치 Luck을 255까지 올리게 되면 모든 공격이 크리티컬이 되므로 어떤 리미트이든 Hero drink 2개면 충분합니다. 덧붙여, 2턴까지 기다린다면 Final Heaven이나 Stardust Ray같은 다른 리미트 또한 가능합니다.
6. 실력행사
[60]대의 레벨은 웨폰 공격의 패턴을 익히지 않으면 이기기 힘듭니다. [70]대의 레벨과 고급 마테리아를 마스터하여 가지고 있다면 무난하게 깰 수 있습니다.
한번에 데미지가 많이 뜨는 공격(예: KOR, Omnislash)이 없으면 에메랄드 웨폰의 눈을 제거하기 어렵기 때문에 Game Over가 되기 쉽습니다.
최강무기와 4x-Cut 조합, Demi + Quadra Magic, Final Attack + Phoenix, Magalixir(ラストエリクサ-) 등으로 싸웁니다.
웨폰의 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크라우드는 Hyper(興奮濟)를 먹여서 Fury상태로 전투에 들어가고 공격은 하지않고 회복과 Hero Drink의 사용에 주력합니다. 웨폰의 눈이 열리자마자 크라우드는 Omnislash를 쓰고 다른 캐릭터들은 강한 마법이나 공격을 쓴다면 웨폰의 눈의 공격에 의해 파티 전체가 전멸하는 경우는 없을 것입니다.
덧붙여, Omnislash와 레벨업(4x-Cut가능)한 Double Cut이 없어도, 레벨 [50]의 크라우드, 바렛, 시드 파티, 최강무기, Ziedrich(3), Circlet, Curse Ring(2), X-Potion, Magalixir(4), Hero Drink(12), Vaccine(2), T/S Bomb(12), Ultima + MP Absorb, W-Magic, HP Plus(6), E-Skill(3), W-Item, Double Cut(2x-Cut상태)만으로도 깨는 것이 가능했습니다.
Omnislash와 레벨업 Double Cut, Under Water 마테리아까지 있다면 레벨 [43]에 Tough Ring(2), Magalixir(5)를 추가하여 깨는 것이 가능합니다. 만약 Magalixir가 20개, T/S Bomb도 20개 정도 있다면 레벨 [40]의 크라우드, 바렛, 유피 파티로도 가능합니다.
물론 레벨 [80]이상에 KOR + HP Absorb / Final Attack + Phoenix 가 있으면 손쉽게 쓰러뜨리는 것이 가능하지만 긴장감이 떨어지는 듯 해서 개인적으로는 저레벨의 전투를 보다 선호합니다.
7. 전투 중에 7777 만들기
[M] : HP Plus(2)
HP가 9999가 되어야하기 때문에 레벨이 [65]이상(HP가 가장 낮은 유피 기준)이어야 합니다.
웨폰의 공격 중에서 Aire Tam Storm은 [마테리아 수 X 1111]의 데미지를 줍니다. 이것을 잘 이용한다면 전투 중에 7777 이 가능하여 497728 의 데미지를 한번에 줄 수 있습니다.
7777을 실행할 캐릭터는 HP Plus 마테리아를 2개만 장착해서(고레벨에서는 HP Plus 마테리아는 1개만 장착하고 다른 마테리아를 1개 장착합니다) HP를 9999로 만들고 전투에 돌입합니다. 웨폰이 Aire Tam Storm을 쓰기 직전 (보통 웨폰의 눈이 생기고 3~4턴 후)에 Elixir 등을 이용하여 HP를 가득 채우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서술한 레벨은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했습니다. 치밀하게 전략을 짠다면 이보다 적은 레벨로도 가능할 것입니다.
위에 나와있는 공략대로 한개씩 하다보니 정말 많은 공략이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덕분에 FF7을 35번 했습니다.
정상적인 실력행사도 나름대로 재미있지만 눈이 즐거운 화려한 볼거리를 원한다면 루비 3번 참고사항의 응용방법, 에메랄드 4번의 응용방법이 꽤 멋집니다. <적극 추천합니다!>
가장 쉬운 방법을 찾는다면 루비 1번, 에메랄드 1번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가장 많은 준비가 필요한 방법은 루비 7번, 에메랄드 5번입니다.
오로지 마테리아 성장만을 생각하다면 루비는 8번, 에메랄드는 3번이 가장 많은 수의 성장슬롯이 생깁니다.
그럼 FF7을 즐기시는데 작은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