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파이널 판타지 lll(Final Fantasy lll, ファイナルファンタジ- lll) |
타이틀 | Final Fantasy Ⅲ |
발매일 | 1990년 4월 27일 |
디렉터 | 사카구치 히로노부 |
발매 회사 | SQUARE |
음악 | 우에마츠 노부오 |
캐릭터 디자인 | 아마노 요시타카 |
가격 | 8,400엔 |
기종 | SFC, PS |
디스크 | 1장 |
장르 | Role Playing |
미디어 | CD-Rom |
캐릭터 | 4명 |
최대 파티 | 4명 |
2. 로고와 스크린 샷 |
![]() |
![]() |
![]() |
![]() |
FF 3의 로고 | 초기화면 | 전투화면 | 마을에서... |
3. 게임 소개 |
Final Fantasy3은 여러가지로 의미가 있는 작품이다. FC로서는 마지막 FF이며 최초로 100만 개가 넘게 팔리는 밀리언 셀러가 되었고 동시에 라이벌 이었던 드래곤 퀘스트4를 누른 작품이다. 더구나 국내 유저의 대부분은 이 FF 3을 시작으로 Final Fantasy시리즈를 접하게 된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그것도 역시 각별하다. FF 3은 Final Fantasy 시리즈의 기초를 닦은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FF 3에서의 크리스탈의 역할이라던지, 소환마법, 직업, 등은 이후 Final Fantasy 시리즈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요소들이 되었다. FF의 아버지라 불리우는 사카구치 히로노부가 FF 3이 없었다면 지금의 Final Fantasy는 없다고 말했을 정도이니 FF 3은 Final Fantasy의 시발점이라고 봐도 전혀 틀린말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FF 3의 가장 큰 컨셉은 바로 직업의 획기적인 활용이다. FF 1이나 라이벌인 드래곤 퀘스트 3에도 직업의 개념은 있었지만 이처럼 직업이란 개념을 재미있는 요소로 승화시키지는 못했다. 물론 직업간의 능력 격차가 심해 결국 쓰는 직업만 쓰게 되고 최후에는 닌자 2명에 현자 2명이라는 판에 박힌 파티 조합이 된다는 단점도 있지만 어쨌든 이 직업 체인지가 주는 재미는 색다른 것이었다. 게다가 지금까지 캐릭터로서 존재해 왔던 바하무트등의 존재를 "소환마법"이라는 새로운 마법 계열에 추가시켜 독특한 효과를 줌으로서 재미의 폭을 더욱 넓혔다. 이러한 점을 부각하기 위해 역으로 시나리오와 캐릭터성은 죽어버렸다는 결점이 있긴 했지만 RPG로서의 밸런스와 재미가 안정되어 있고 그래픽과 사운드도 뛰어났던 FF 3는 이 시리즈를 대작 반열에 올렸다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
크라우드9//전 한글판입니다!~~ㅎㅎ
이거다깬다음뭐함
psp 판으로는 안나올려나??? 아 해보고 싶은데 =_=;;
아이패드용 으로하고있음 한글패치판으로하는게 Good !!!!
아이폰이 있기는 한데....psp 로는 안나오겠죠? -_ㅜ 아이폰으로 오래하면 손 아플꺼 같은데 ㅠㅠ